동아시아라는 문화적인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언어적으로도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물론 발음과 표기 방식이 달라서 처음 배울 때는 어렵습니다. 중국어는 성조도 있지만 이것은 일단 제외하겠습니다.


🌎 한/중/일 언어 여행

똑같은 단어가 비슷하게 발음되는 놀라운 비밀과 흥미로운 반전

한국어와 비슷한
출처 : 티빙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는 지리적으로 가까울 뿐만 아니라 수천년간 한자라는 공통의 문자 체계를 공유하며 발전해 왔습니다. 따라서 현재 문법 구조는 다르지만, 특정 단어를 발음하는 방식이 매우 비슷하거나, 심지어 의미가 정반대가 되는 흥미로운 언어적 반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휘 중 약 70% 이상이 한자에서 유래된 한국어와 일본어는 이러한 유사성이 두드러집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한자 문화권 언어 학습자라면 꼭 알아야 할 놀라운 발음 유사성과, 언어 학습의 재미를 더하는 문화적 차이점을 깊이 있게 알아 보겠습니다.

발음 유사성 90%

다음 단어들은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에서 발음이 매우 비슷하여 거의 바로 알아들을 수 있는 수준입니다.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순서 입니다.

  • 약속, 야쿠소쿠, 위에쑤(yuēsuō)
  • 가족, 카조쿠, 지아주(jiāzú)
  • 운전, 운텐, 윈주안(yùnzhuǎn)
  • 시간, 지칸, 스젠(shíjiān)

🔥 학습 팁: 한국어 'ㅅ' 발음이 일본어에서는 '츠(つ)' 또는 '시(し)'로, 중국어에서는 '스(shí)' 등으로 비슷하게 변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국어 발음을 기준으로 삼고 이 발음 변형 규칙만 익혀도 수백 개의 단어를 동시에 습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일본어는 한국어의 'ㄱ, ㄷ, ㅂ' 받침이 들어가는 한자어를 발음할 때 **'쿠(く)', '츠(つ)', '푸(ふ)'와 같은 소리로 변형되는 규칙이 있습니다.

EX) Korean and Japanese

출발, 슈파츠 (shuppatsu) 'ㄹ/발' → '파츠'

도착, 토-챠쿠 (touchaku) '착(k)' → '챠쿠(ku)'

이러한 발음 변화 패턴을 이해하면, 단순히 단어를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의 규칙을 파악하며 학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의미가 뒤바뀌는 흥미로운 반전

세 언어가 한자를 공유한다고 해서 의미까지 100% 동일한 것은 아닙니다. 문화적, 역사적 맥락에 따라 한 단어의 사용 범위나 의미가 완전히 뒤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학습자에게 큰 혼란을 주지만 동시에 언어의 재미를 선사합니다. 가장 흥미로운 언어적 반전 중 하나는 지시 대명사입니다. 한국어에서 가까운 것을 가리킬 때 '이것(이)', 먼 것을 가리킬 때 '저것(저)'을 사용합니다. 중국어에서는 이 지시 대명사의 발음이 놀랍도록 반대로 쓰입니다.

  • 가까운 것(이것), 저거(zhè ge)
  • 먼 것(저것), 나거 (nà ge)

한국어의 '이' 발음은 중국어 '저(zhè, 가까운 것)'와 비슷하고, 한국어의 '저' 발음은 중국어 '나(nà, 먼 것)'와 비슷하여, 마치 두 언어가 지시 대명사의 발음을 반대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흥미로운 현상이 발생합니다.


일본어에서 주의해야 할 전혀 다른 의미

  • 애인 : 불륜 상대
  • 견학 : 방문하여 관찰
  • 공부 : 궁리, 아이디어, 연구

특히 '애인(愛人)' 같은 단어는 일본에서 사용하면 매우 민감하고 부정적인 의미(배우자 외의 관계)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절대 주의해야 합니다. 한국어의 '애인'은 일본어로 보통 '고이비토(恋人, 연인)'를 사용해야 합니다.


기타

세 언어가 한자어를 수용하는 방식의 차이는 그 나라의 문화와 사고방식을 반영합니다. 한국어는 동사 대부분이 순우리말이거나 한자어와 순우리말이 결합된 형태('공부하다', '운전하다')이지만, 중국어는 대부분의 동사를 한자 그 자체로 사용합니다.

운전: 한국어('운전하다'), 중국어('카이처/開車', 차를 열다), 일본어('운텐스루/運転する', 운전하다)


일본어는 한자의 발음(음독) 외에도, 한자의 뜻에 해당하는 고유어 발음(훈독, 訓讀)을 함께 사용합니다.

물(水): 한국어(수/水), 중국어(쉐이/水), 일본어(음독: 스이/水, 훈독: 미즈/水)

이러한 고유어(미즈) 사용 덕분에 일본어는 한국어나 중국어와 달리 한자어를 사용하면서도 고유의 어휘 체계를 더욱 강력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는 겉으로 보기에 전혀 다른 언어 같지만, 한자라는 뿌리를 통해 강력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비슷한 패턴의 음독 발음을 통해 어휘를 세 배 빠르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한자어를 기준으로 삼고, 일본어의 '츠' 변형이나 중국어의 성조 규칙만 익힌다면 효율적인 언어 정복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동아시아 3개국 언어 학습의 재미와 효율성을 높이는 지름길이 될 것 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원고료를 제공받습니다."

일본어 잘하고 싶을땐: 독학 첫걸음 + 히라가나 쓰기 연습장 + JLPT N5 실전모의고사 + 미니북 로켓배송

성조

중국어는 성조에 따라서 의미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ú 이렇게 올라가는 표시는 음역을 올리는 것 이고 è 내려가는 표시는 음역을 내리는 것 입니다. ē 이렇게 길게된 경우에는 같은 음역에서 길게 끌고 ǎ 꺽이는 경우에는 내렸다가 다시 올리는 방식 입니다. 성조를 말하는 방식이 표시에 따라서 직관적이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알 수 있습니다. mā (妈, 엄마), má (麻, 마비되다/삼), mǎ (马, 말/동물), mà (骂, 욕하다/꾸짖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