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에서 3년 만에 에이스급 성장세를 보여주며 야구 팬들을 설레게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국내 무대 성적과 MLB 진출에 대해서 예측해 보겠습니다.
KBO
2025
![]() |
| 출처 : always_kia_tigers |
- 타석 : 600
- 홈런 : 30
- OPS : 0.95
- wRC+ : 160
- 출루율 : 0.400
직전 시즌에 홈런 38개, wRC+ 172.5 등 놀라운 기록을 냈습니다. 올해는 각 팀들의 분석과 견제를 생각하면 홈런 갯수는 조금 감소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성장세를 생각하면 2024년과 비슷한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습니다. 또한 풀타임 출전이 작년이 처음이였던 것을 감안하면 올해는 약간 성적이 내려갈 수 있는 요인으로 평가됩니다. 여러가지를 생각해도 KBO에서 계속 최정상급 활약을 할 수 있습니다.
작년까지가 3년차였고 올해가 4년차 입니다. MLB 진출을 생각한다면 7년차 성적까지 예상을 해야 됩니다. KBO는 최소 7년을 뛰어야 포스팅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2년차 경기수가 적지만 국대 소집으로 인해서 혜택이 생기며 7년차 이후 포스팅 자격을 얻을 확률이 높습니다. 즉 2022~2028시즌 전체 성적을 토대로 2029시즌에는 MLB에서 뛸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가파른 성장 곡선을 고려했을 때, 이후에도 꾸준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당장 7년동안 평균을 예측하기 어렵지만 김도영의 재능과 잠재력을 생각하면 어느정도 계산할 수 있습니다. KBO에서 누적 150홈런, 평균 출루율 0.385, OPS 0.914가 예상됩니다. 이 성적은 이정후와 거의 비슷합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이정후보다는 김하성에 가깝습니다. 이정후는 컨택을 바탕으로 출루율이 더 높았고, 김하성은 장타력에서 장점이 있습니다.
시즌 초반 결장해서 출전 타석과 홈런 수는 전 시즌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
MLB
Team
- LA다저스
- 뉴욕 양키스
- 샌프란시스코
- 피츠버그
- 미네소타
계약
김하성을 기준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가의 상승과 더 좋은 장타력을 생각하면 4년 3500만 달러 정도가 될 수 있습니다. 한화로 환전하면 총액 500억으로 일년 평균으로 연봉 100억을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타격에 있어서도 이정후에 근접하기 때문에 김하성보다 좋은 계약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정후처럼 1000억이 넘는 계약을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만약 수비가 개선되면 약간의 여지는 있습니다. 김하성의 4년 2500만 달러보다 훨씬 많은 금액입니다.
